송파구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파구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선거구는 여러 차례 조정되어, 현재는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종완, 맹형규, 김성순, 박계동, 유일호, 최명길, 최재성, 배현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송파구의 정치 - 송파구 병
송파구 병은 17대 총선 때 송파구 을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현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을 관할하며 이근식, 김성순, 김을동, 남인순 의원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특히 남인순 의원은 20대, 21대, 22대 총선에서 3선 의원을 달성했다. - 서울 송파구의 정치 - 송파구 갑
송파구 갑은 서울특별시 송파구를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신설 이후 인구 변화에 따라 관할 지역이 조정되었으며, 보수 성향 후보 당선이 많았으나 2020년 총선에서 이변이 발생하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송파구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연도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강동구 송파구 병(2000년 통합) |
이후 선거구 | 송파구 병(1996년 분리) 송파구 병(2004년 분리) |
의원 | 배현진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지도 | |
![]() |
2. 역사
13대 총선을 앞두고 송파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처음에는 거여동, 마천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가락동, 문정동이 송파구 을에 속했고, 풍납동과 잠실동은 송파구 갑에 속했다.
14대 총선 때는 오금동이 송파구 갑으로 넘어갔다.
15대 총선 때는 송파구 인구가 너무 많아져서 송파구 병 선거구가 새로 생겼다. 이에 송파구 을의 거여동, 가락동, 문정동이 송파구 병으로 가고, 송파구 갑에서 방이동, 오륜동, 오금동을 받았다.
16대 총선 때는 송파구 병 선거구가 없어지면서, 송파구 병 지역이 다시 송파구 을로 들어왔다. 이때 방이동과 오륜동은 송파구 갑으로, 잠실동 일부는 송파구 을로 조정되었다.
17대 총선 때는 송파구 병이 다시 생기면서, 석촌동, 삼전동, 문정2동을 뺀 나머지 송파구 을 지역이 송파구 병으로 갔다. 대신 송파구 을은 송파구 갑에서 잠실동(4동, 6동 제외)을 받았다.
2. 1. 1988년 선거구 신설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거여동, 마천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가락동, 문정동을 관할했으며, 나머지 지역인 풍납동과 잠실동은 송파구 갑으로 묶였다.2. 2. 1992년, 1996년 선거구 조정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 을의 오금동이 송파구 갑으로 넘어갔다.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의 인구가 상한선을 초과함에 따라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져 송파구 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이에 송파구 을의 거여동, 가락동, 문정동이 송파구 병으로 넘어갔으며, 대신 송파구 갑에서 방이동, 오륜동, 오금동을 받게 되었다.
2. 3. 2000년, 2004년 선거구 조정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 병 선거구가 해체됨에 따라, 기존 송파구 병의 관할 지역이 다시 송파구 을로 병합되었다. 이때 방이동과 오륜동은 송파구 갑으로 넘어가고, 잠실동 일부가 송파구 을로 넘어왔다.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 병이 다시 신설되면서, 석촌동, 삼전동, 문정2동을 제외한 송파구 을의 모든 지역이 송파구 병으로 넘어갔다. 대신 송파구 을은 송파구 갑으로부터 잠실동(4동과 6동 제외)을 넘겨받았다.
2. 4. 현재의 관할 구역
송파구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88년 평화민주당 김종완 1992년 민주당 1996년 신한국당 맹형규 2000년 새천년민주당 김성순 2004년 한나라당 박계동 2008년 한나라당 유일호 2012년 새누리당 2016년 더불어민주당 최명길 2018년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2020년 미래통합당 배현진 2024년 국민의힘
3. 1. 13대 ~ 14대 국회의원
3. 2. 15대 국회의원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맹형규 의원이 당선되었다.3. 3. 16대 국회의원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김성순 의원이 당선되었다.3. 4. 17대 국회의원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박계동 후보가 당선되었다.3. 5. 18대 ~ 19대 국회의원
3. 6. 20대 국회의원
3. 7. 21대 ~ 22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송파구 을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주요 경쟁 후보 |
---|---|---|---|---|
제13대 총선 | 김종완 | 평화민주당 | 26.59 | 통일민주당 김병태: 25.29% |
제14대 총선 | 김종완 | 민주당 | 34.00 | 민주자유당 김병태: 32.79% |
제15대 총선 | 맹형규 | 신한국당 | 39.73 | 새정치국민회의 김진명: 34.17%[2] |
제16대 총선 | 김성순 | 새천년민주당 | 48.40 | 한나라당 최한수: 41.58%[2] |
제17대 총선 | 박계동 | 한나라당 | 49.32 | 열린우리당 김영술: 43.66% |
제18대 총선 | 유일호 | 한나라당 | 61.98 | 통합민주당2008 장복심: 35.55% |
제19대 총선 | 유일호 | 새누리당 | 49.94 | 민주통합당 천정배: 46.02%[2] |
제20대 총선 | 최명길 | 더불어민주당 | 44.00 | 무소속 김영순: 39.54%[2] |
2018년 재보선 | 최재성 | 더불어민주당 | 54.41 | 자유한국당 배현진: 29.64% |
제21대 총선 | 배현진 | 미래통합당 | 50.46 |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46.04% |
제22대 총선 | 배현진 | 국민의힘 | 57.20 | 더불어민주당 송기호: 42.79 |
2018년 재보궐선거와 2020년 총선에서는 배현진 후보와 최재성 후보가 연속으로 맞붙었다. 2018년에는 최재성 후보가, 2020년에는 배현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동교동계로 정계에 입문한 평화민주당 김종완 후보가 통일민주당 김병태 후보, 민주정의당 박완남 후보, 신민주공화당 류호필 후보와 4자 경합을 벌여 근소한 득표율 차이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완 | 평화민주당 | 30,419 | 26.59 |
김병태 | 통일민주당 | 28,930 | 25.29 |
박완남 | 민주정의당 | 25,858 | 22.60 |
류호필 | 신민주공화당 | 22,120 | 19.33 |
박용일 | 한겨레민주당 | 6,259 | 5.47 |
안영명 | 무소속 | 797 | 0.69 |
합계 | 114,383 | 100.00 |
4.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종완 후보가 민주자유당 김병태 후보를 2%p 차이로 꺾고 재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완 | 민주당 | 51,611 | 34.00% |
김병태 | 민주자유당 | 49,778 | 32.79% |
김중태 | 통일국민당 | 40,562 | 26.72% |
김정호 | 신정치개혁당 | 5,198 | 3.42% |
고광철 | 무소속 | 4,635 | 3.05% |
합계 | 151,784 | 100% |
4.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선거구에서는 총 145,329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2]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신한국당 | 맹형규 | 34,741 | 39.73% | |
새정치국민회의 | 김진명 | 29,880 | 34.17% | |
자유민주연합 | 정남 | 11,620 | 13.29% | |
통합민주당1995 | 김종완 | 9,801 | 11.21% | |
무소속 | 김흥현 | 1,383 | 1.58% | |
합계 | 87,425 |
새정치국민회의는 소설가 김진명을, 신한국당은 맹형규 전 SBS 앵커를 공천했다. 맹형규 후보가 39.7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송파구 을 선거구에서 보수정당이 처음으로 승리했다.[2]
4.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김성순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성순 후보는 송파구청장을 네 차례 지낸 인물로, 지역 기반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한나라당에서는 KBS 기자 출신 최한수 후보를 내세웠으나, 김성순 후보가 48.40%의 득표율로 41.58%를 얻은 최한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 이로써 민주당계 정당은 송파구 을 지역구를 탈환하였다.[2]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천년민주당 | 김성순 | 60,443 | 48.40 |
한나라당 | 최한수 | 51,920 | 41.58 |
청년진보당 | 안규정 | 4,523 | 3.62 |
자유민주연합 | 조중형 | 3,951 | 3.16 |
무소속 | 김관석 | 2,230 | 1.78 |
민주국민당2000 | 백만인 | 1,791 | 1.43 |
합계 | 124,858 |
4.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송파구의 선거구가 개편되었다. 송파구 을 선거구는 보수 성향의 잠실 지역과 진보 성향의 석촌동·삼전동으로 구성되었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역풍까지 겹쳐 판세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박계동 한나라당 후보와 김영술 열린우리당 후보가 경합을 벌였다.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서는 김영술 후보의 당선이 유력했으나, 잠실동 투표소 개표 결과 박계동 후보가 49.3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영술 후보는 43.66%를 득표했다.
4.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은 조세연구원 출신의 유일호 후보를 공천했다. 당시 지하철 9호선 연장과 제2롯데월드 건축 재추진이 지역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유일호 후보가 61.9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통합민주당2008 장복심 후보를 크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4.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유일호 후보가 재선에 도전했고, 민주통합당에서는 천정배 후보를 전략 공천했다. 선거 결과 유일호 후보가 49.94%의 득표율로, 46.02%를 얻은 천정배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기고 당선되었다.[2] 이후 유일호 의원은 박근혜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장관과 경제부총리를 역임했다.
4.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의 '옥새파동'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유일호 의원이 경제부총리 역임으로 인해 자연히 의원직을 내려놓게 되자 새누리당에서는 예비후보로 8명이 신청하였는데, 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진박'으로 분류되는 유영하 변호사를 단수후보로 공천했다. 당내에서는 반발이 확산됐고 결정적으로 김무성 대표가 공천후보 추천서에 직인날인을 거부하면서 새누리당은 송파구 을에 아무런 후보를 내지 못했다. 그 결과로 더불어민주당의 최명길 후보가 44.00% 득표율로 당선,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던 송파구 을 선거구에 발을 내딛게 되었다.[2]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최명길 | 42,370 | 44.00 |
무소속 | 김영순 | 38,076 | 39.54 |
국민의당 | 이래협 | 14,407 | 14.96 |
무소속 | 채현 | 1,429 | 1.48 |
합계 | 96,282 | 100 |
4. 9.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최명길 의원은 2017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총선을 앞두고 선거사무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SNS 전문가에게 선거운동을 부탁하면서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었고, 2017년 12월 5일 대법원에서 공직선거법 위반에 따른 벌금 200만원 원심을 확정받아 의원직을 상실하였다.[4] 이에 따라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7·18·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최재성 후보를 공천했고, 자유한국당은 전 MBC 아나운서 출신 배현진 후보를 공천했다. 선거 결과, 최재성 후보가 54.41%의 득표율로 29.64%를 얻은 배현진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4. 1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 배현진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후보가 2년 전 재보궐선거에 이어 다시 맞붙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미래통합당 | 배현진 | 72,072 | 50.46% |
더불어민주당 | 최재성 | 65,763 | 46.04% |
정의당 | 안숙현 | 4,330 | 3.03% |
국가혁명배당금당 | 김주연 | 362 | 0.25% |
우리공화당 | 권주 | 302 | 0.21% |
합계 | 142,829 | 100% |
개표 결과, 배현진 후보가 50.4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2년 전의 패배를 설욕했다.
4. 1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선거구의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뉴스
http://news1.kr/arti[...]
[2]
뉴스
http://www.seoul.co.[...]
[3]
뉴스
http://www.sedaily.c[...]
[4]
뉴스인용
최명길 의원직 박탈…'선거법 위반' 벌금 200만원 확정
http://www.newsis.co[...]
2017-12-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